:::김준효 변호사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Japanise사이트로 이동합니다 Chinese사이트로 이동합니다 English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English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국민일보 2006.9.26.자 기사(이동훈 기자 작성)요약-국가개념의 변화
 김준효  | 2006·10·01 20:49 | HIT : 6,316 |
[수십년래 새 기술발견 없고, 중국 세계경제 지배 못한다]

미래서적 ‘메가트렌드 시리즈’로 유명한 세계적 석학 존 네이스비트(77)가 다음달 초 발간될 신간 ‘마인드 셋-생각을 재정립하고 미래를 보라’에서 예측:
앞으로 수십년 안에 국가 개념이 ‘경제 영토’ 개념으로 바뀔 것.
( USA투데이 25일 보도)

네이스비트: 21세기 전반부까지 미래를 이같이 예측하고 그 배경에는 ‘탈중심화’가 자리잡고 있다고 강조.
예- 포르투갈은 ‘자동차 영역’이 될 것, 인터넷 경매기업 이베이는 미국이 아니라 글로벌 기술 영토로 편입된다는 것.
따라서 세계총생산(WDP) 개념이 유일하게 중요한 경제지표가 될 것.
향후 수십년 동안은 기술 영역에서 ‘다음 세대를 이끌 큰 발견’은 없을 것이라고 예상.
세계는 20세기에 발견된 기본 기술을 약간 조정하는 수준에 그칠 것.

1980년대 이후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중국의 경우, 미국 생활수준을 따라잡으려면 향후 40년 정도가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중국은 세계 경제를 ‘결코’ 지배하지 못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세계 스포츠를 평정할 수 있으며,세계의 디자인 중심국이 될 것이라는 흥미로운 예측도 내놨다.

유럽에 대해서는 정치 분쟁,높은 세금,제한적인 노동법,낮은 생산성 등으로 고통을 겪을 뿐 아니라 미국과 아시아인들의 ‘역사 테마 공원’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혹평했다.
하지만 유럽의 기업들은 ‘경제 영토’에서 건재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1982년부터 발간된 메카트렌드 시리즈는 정보사회로의 변화,아시아의 부상과 중국의 역할 변화,세계 여성 지도자 탄생 등 1990년대와 21세기 초까지 주요 트렌드를 정확하게 예측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네이스비트는 ‘글로벌 패러독스’ 등 저서를 통해 지금은 익숙해진 ‘글로벌리제이션’ ‘복지의 민영화’ 등 숱한 신조어를 만들어냈다.

(이상은 이동훈 기자의 기사를 요약한 것입니다.)
  
51   국가 지식재산 전략 체계 구축  김준효 06·07·01 5921
50   ''아리랑 2호'' 7월 28일 러시아서 발사  자료실 06·07·13 6357
49   미국이 세계경제와 과학기술을 리드하기 위한 제안-과실연 자료 인용  김준효 06·08·08 6373
48   일본 나카무라 직무발명보상금청구소송 2심화해관련 자료-김준효 변호사  김준효 06·08·25 5621
47   한국의 기능직 근로자들의 기술력이 저하되고 있다는 한겨레신문보도  김준효 06·08·28 6306
46   2단계 영문 kr도메인 등록 시대로-이데일리 류의성 기자 글 요지  김준효 06·09·05 6655
45   내년 R&D투자 10조원 육박-국정브리핑 인용  김준효 06·09·30 6081
44   과학계 금녀의 벽이 무너지다 - 뉴스위크 한국판 부분인용  김준효 06·09·30 6276
  국민일보 2006.9.26.자 기사(이동훈 기자 작성)요약-국가개념의 변화  김준효 06·10·01 6316
42   무한의 세계 [권영한 저, 재미있는 이야기수학(전원문화사), 146-148면 인용]  김준효 06·10·04 6390
1 [2][3][4][5][6]
Copyright 1999-2023 Zeroboard / skin by GGAMBO
:::김준효 변호사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변호사 김준효 법률사무소
부산 강서구 명지국제2로 80 이편한세상 상가 3층 1호 (우:46726)
전화 : 051-293-3344 구 02-587-9400 전화 가능
E-mail:kimjoonhyo@naver.com, kimjoonhyo@gmail.com